Study Notes/Clinical Psychology

[CBT - Depression] 인지 행동 치료 - 우울증 (2)

Kirina 2023. 2. 1. 13:49
반응형

목차

    Mood Check

    인지 행동 치료를 할 때 가장 먼저 하는 것은 환자의 기분과 감정을 파악하고 이야기하는 것이다. 

     

    치료사가 할 수 있는 질문으로서는:

    • 과거에는 기분이 어땠나요?
    • 최근 어떠한 상황에서 기분이 좋지 않았나요?
    • 기분이 좋았을 땐 어떠한 상황이었나요?

    이러한 질문을 하는 이유는 환자가 치료사와 기분에 대해 이야기할 때, 자신의 기분을 인식하게 할 수 있게 하고 자신의 기분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와, 기분의 변화는 (감정의 up and down) 당연한 것이고 건강한 것이고 필요한 것이라는 것을 알게 하는 것이다. 아무리 우울하다고 해도 24시간 내내 같은 강도로 우울할 수 없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mood vs. affect이다. 

    mood는 기분이고 affect는 감정이다. 

    mood는 마치 "기후"(climate) 처럼 장기간의 기분이고, affect는 "날씨"처럼 바로 지금의 감정이다.

    그래서 우울증 환자에게는 지금의 우울함이 계속 그들을 지배하는 기분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을 알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Mood check가 진행되는 동안 치료사는 daily mood monitoring을 한다.

    • 오늘 아침에 기분은 어땠나요?
    • 오늘 언제 기분이 바뀌었나요?
    • 최근 (특정한 일)이 일어날 때 기분이 어땠나요?
    • 최근 (특정한 일)이 일어날 때 어떠한 이미지가 떠올랐나요?
    • 오늘의 기분을 emotion thermometer에 점수를 매겨보자면 몇일까요?
      • emotion thermometer는 감정 온도계로, 보통 0 (매우 기분 좋음) ~ 10 (매우 기분 안 좋음)으로 본다. 

    숙제로 매일 아침 점심 저녁, 총 세 번, 자신의 감정을 살핀 뒤 감정 온도계 점수를 'Daily Mood Monitoring' 워크시트에 일주일 치를 적어 오게 한다. 치료사와 함께 자신이 어떠한 날에, 어떠한 상황에, 무엇을 할 때 감정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알아볼 수 있다. 이 워크시트를 보며 자신의 감정을 상하게 하는 특정한 것을 파악한 후 치료할 때 이야기해 볼 수 있다. 

     

    예)

    월요일
    아침
    8시-아침으로 사과 먹음 (5)
    점심
    이력서 작성함 (8)
    저녁
    계속 누워있었음 (9)

    그다음 순서들

    기분/감정 체크가 끝난 후에는 지난주에 주어진 숙제를 확인한다. 'Daily Mood Monitoring' 워크시트를 본다든지, 치료사와 하기로 한 활동을 검사받는 시간이 된다. 

     

    숙제 검사가 끝나면 오늘의 할 일을 정하여 이야기한다.

    예를 들어 환자가 지난주 취업 준비를 하는 도중 자신은 아무것도 해낸 것이 없다는 생각으로 인해 우울했다고 하면 이걸 가지고 오늘 치료 중 이 내용으로 이야기해 볼 수 있도록 오늘의 할 일로 적어둘 수 있다. 

     

    오늘의 할 일을 다 정하면 치료사는 Behavioral Activation (BA), Problem solving, Cognitive restructuring 등의 치료 도구들을 사용하여 치료(대화)를 시작한다. 

     

    치료가 끝나면 다음 주 치료를 위한 숙제를 내준다. 

     

     

     

     

     

    다음 글: Behavioral Activation (BA) 행동 활성화

     

    반응형
    댓글수0